정부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 2022년까지 구축, 1조4천억원 투입
정부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 2022년까지 구축, 1조4천억원 투입
  • 강은경 기자
  • 승인 2020.01.07 16:3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상수도 시설 문제 사전에 파악, 신속히 대처가능
환경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를 구축한다고 7일 밝혔다.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 예시(사진=환경부 제공, 조아은 기자 편집)
환경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를 구축한다고 7일 밝혔다.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 예시(사진=환경부 제공, 조아은 기자 편집)

‘실시간으로 수돗물 상태를 확인한다’

앞으로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가 도입돼 실시간으로 현황을 감시하고 사고 발생으로 인한 위험이 줄어들 전망이다.

환경부는 수돗물 수질사고 발생을 방지하고, 국민이 안심하고 마실 수 있는 수돗물을 공급하기 위해 올해부터 ‘스마트 상수도 관리체계’를 본격적으로 도입한다고 7일 밝혔다.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는 지난해 5월 인천시 붉은 수돗물 사태에서 드러난 수도시설 관리 전반의 문제를 개선하고, 실시간 수돗물 정보 공개 등으로 수돗물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올해부터 전국을 대상으로 추진한다.

스마트상수도란 정수장에서 수도꼭지까지 수질·유량을 실시간으로 측정·관리하고 관련 정보를 즉시 제공해 수돗물 신뢰를 높이는 방식을 말한다. 여기에는 가정을 직접 방문해 수도꼭지 수돗물 수질검사 및 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워터코디), 계량기부터 수도꼭지까지 옥내배관의 진단·세척 서비스(워터닥터) 등으로 소비자에게 맞춤형 수돗물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 과정이 포함된다. 

환경부는 2022년까지 총사업비 약 1조 4천억 원을 투입해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올해 상반기에는 스마트상수도 관리체계 구축을 위한 기본계획이 먼저 수립될 예정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기본계획 수립 이후 올해 하반기부터는 서울, 부산, 광주시 등 특·광역시를 포함한 44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스마트 관리체계가 우선 도입되며, 2022년까지 전국에 순차적으로 구축된다”고 설명했다. 

스마트관리 체계가 도입되면, 상수도 시설 문제를 사전에 파악하고 신속히 대처해 국민의 수돗물 신뢰가 강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실제 현재 스마트관리 체계를 시범운영 중인 파주시의 수돗물 직접 음용률(2016년 기준)은 전국 평균 7.2%에 비해 5배 이상 높은 36.3%를 기록한 바 있다.

또 환경부는 스마트관리 체계를 통해 과다한 예산을 수반하는 노후 상수도관의 교체·개량 중심 행정에서 정보통신기술을 활용한 체계적인 수돗물 공급과정 관리 강화로 정책의 체계가 전환돼 수도시설 유지·관리비용이 크게 절감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특히 지난해 11월 ‘수도법’ 개정에 따라 수도사업자에게 수돗물 공급과정에서의 수질오염방지 의무가 부과되는 점에 발맞추어 관세척 시설, 자동배수설비 등의 기반시설을 전국 상수관망에 구축해 보다 체계적으로 수돗물 수질을 관리할 수 있게 된다.

김영훈 환경부 물통합정책국장은 “이번 정책토론회를 시작으로 사업을 차질없이 추진해 수돗물을 공급하는 데만 급급했던 과거의 수돗물 관리방식에서 벗어나 깨끗한 물이 각 가정까지 안전하게 도달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