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물산업클러스터 '지역사업'으로 만들지마라
국가물산업클러스터 '지역사업'으로 만들지마라
  • 물산업신문
  • 승인 2018.12.19 14: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구시 산하 관련 기관과 부서부터 물산업클러스터에 둥지 틀어야

대구시의회가 19일 오전 한국물기술인증원 설립 촉구 결의안을 채택했다. 지난달 28일 인천시의회가 무기술인증원 설립 촉구 결의안을 채택한 데 따른 대응이다. 결국 지역간 유치전이 과열되는 양상으로 흘러가고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모습을 환경부가 좋아할 리 없다. ‘국가물산업클러스터’는 대한민국의 물산업을 위한 정책으로 정부의 프로젝트이지 ‘지역산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국가물산업클러스터의 성공을 위해서 한국물기술인증원이 들어서는 것이 가장 좋지만 이를 위해 대구가 ‘지역성’을 앞세우며 ‘지역갈등’으로 번지는 움직임을 할 필요가 없다. 국가 물산업을 위한 프로젝트에 환경부가 스스로 정책을 뒤 짚고 ‘지역 물산업’으로 바꾸지는 않을 것이기 때문이다. 
당장 물산업클러스터 입주기업협의회에는 물기술인증원을 두고 별다른 목소리를 내지 않고 있다. 자신들이 클러스터에 입주하는 만큼 당연히 환경부가 ‘최적의 장소’에 입지를 선정할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오히려 대구시는 물기술인증원 유치 목소리를 높일 것이 아니라 시 산하 물·환경 기관을 물산업클러스터로 옮기기 위한 움직임을 해야 한다. 외지 기업을 유치하려 하면서 지자체의 관련 부서와 기관이 정작 동떨어진 곳에 위치한다면 누가 지원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겠는가.
대구환경공단과 대구상수도사업본부, 대구도시개발공사 등이 물산업클러스터로 가야 한다. 국가산업단지와 물산업클러스터의 활성화를 위한 인프라도 먼저 세워야 한다. 
달성군 국가산업단지를 중심으로 한 신도시 계획이 수립돼야 ‘사람’이 모인다. 기업은 땅만 있다고 가는 것이 아니다. 사람을 모을 수 있어야 하고, 사람이 머무를 수 있어야 이전을 할 수 있다. 
지난달 입주기업협의회와 간담회를 가진 권영진 대구시장은 “기업이 공장을 짓고 나면 당연히 버스노선이 생겨나고 인프라도 만들어진다”고 말했다. 하지만 역으로 생각해보자. 일할 공무원과 기관은 정작 대구 시내에 머무르면서 기업들에게 외곽에 둥지를 틀면 버스노선 하나 만들어주겠다는 어처구니없는 ‘대책’에 누가 호응할까.
지금이라도 대구시는 국가물산업클러스터의 성공을 위해서 자신들이 먼저 관련 기관을 옮기는 모습을 보여야 한다. 


관련기사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