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경기도 수돗물 안전성 제고 방안 연구’ 보고서 발간

2021-09-06     김지은 기자
경기연구원

경기연구원이 국내 상수도 관리 동향과 수돗물 안전 위협 요소들을 분석한 '경기도 수돗물 안전성 제고 방안 연구’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6일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8년 기준 경기도 상수도 보급률은 98.5%로 전국 평균 97.0%보다 1.5% 높은 수준이었으며, 2000년 88.0%과 비교했을 때는 10.5% 높은 수치였다.

반면 수돗물 적수 및 유충사태 등으로, 2018년에도 수질 관련 민원이 2천700여건 접수되는 등 상수도 안전성에 대한 불신은 점차 커져갔다.

실제 경기연구원이 지난해 하반기 경기도 31개 시·군 수도시설 운영자 129명에게 수돗물을 음용한다면 어떻게 마시는지 질문한 결과, 전체 10%만이 직접 음용한다는 답변을 내놨다. 수도시설을 직접 운영·관리하는 직원들도 수돗물에 대한 우려가 있었던 것이다.

10%를 제외한 나머지는 '정수기를 이용한다'는 답변이 53%, '끓여 마신다'는 답변이 37%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돗물의 신뢰 여부를 묻는 질문에서는 ‘믿지 못한다’가 7%에 그쳤으나 '보통'이 48%로 '신뢰'를 답한 45%보다 높게 나왔다. ‘보통 및 불신’으로 응답한 대상자 중 56%는 ‘취수원 오염’을 그 이유로 꼽았다.

경기연구원은 이 같은 수돗물 불신의 원인으로 수도사업자인 시․군의 운영인력 및 전문성 부족, 저조한 노후관로 교체율 등이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수돗물 안정성을 높이는 방안으로 ▲‘수도법’ 및 ‘지방공기업법’ 개정 건의 ▲‘경기도 수도종합계획’ 수립 ▲‘경기 맑은 물 연구소’ 설립 ▲'상수도 균형 발전 기금’ 조성을 통한 시설투자 등을 제안했다.

경기연구원 조영무 연구위원은 "안전한 수돗물 공급을 위해서는 정수처리시설의 고도화와 운영인력의 전문성 확보를 위한 전문직 도입, 인력부족 및 운영효율을 위한 자동화 및 모니터링 설비 구축이 필요하다"며, "특히 경기도는 고도정수처리율이 23%로 매우 낮아 고도정수처리시설 도입이 시급하므로, 서울시나 일본과 같이 수도직을 신설해 운영의 전문성을 제고해야 한다”고 말했다.